본문 바로가기
퀀트 전략 기초

월스트리트 퀀트 투자의 법칙. 미래수익률을 예측해주는 가치 지표(주가수익률) ex. 쉴러 지수, 쉴러 PE

by TenMillionQuant 2022. 3. 24.

월스트리트의 퀀트 투자의 법칙 발췌

 

주가수익률(Price - Earnings Ratio, P/E Ratio) 또는 이익수익률(Earnings Yield, E/P Ratio)는 주식시장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지표이다.

 

해당 지표도 트레일링(Trailing)인지 포워드 루킹(Forward Looking)인지 구분을 해야 한다.

 

트레일링 주가수익률은 지난 1년간의 순이익을 현재 주가로 나눈 값이다. 

 

포워드 루킹 주가수익률애널리스트 서베이의 순이익을 가지고 만든다. 

 

실러 지수

 

퀀트 전문가는 주가수익률에 자신만의 요소를 넣어 사용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로버트 실러 교수가 만든 CAPE(Cyclically Adjusted Price - Earnings)이다. 

 

CAPE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해 가격과 순이익을 조정한 후 계산한 것이다. 비즈니스 사이클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10년 평균 순이익을 사용한다. 

 

해당 지표는 시장이 얼마나 고평가/저평가 되어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라고 한다.

CAPE : S&P500기업 전체의 지난 10년간 주당순이익  / S&P500기업의 시가총액

 

 

3월 23일 기준으로 36.11이다.

 

해당 그래프 및 데이터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Shiller PE Ratio

Current Shiller PE Ratio: 36.11 +0.00 (0.00%) 4:00 PM EDT, Wed Mar 23

www.multpl.com

 

 


아래를 보면, 가장 높았을때가 2021년 12월이다. 이때부터 주가는 고점대비 엄청빠졌는데 쉴러 지수도 38.66을 최고점으로 37 -> 35 -> 34까지 떨어졌다가 현재는 36정도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