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퀀트 전략 기초

월스트리트 퀀트 투자의 법칙. 미래수익률을 예측해주는 캐리 지표(배당수익률, 자사주매입 수익률)

by TenMillionQuant 2022. 3. 23.

월스트리트의 퀀트 투자의 법칙 발췌

 

 

 

우리가 과거 경험으로 알아내야 하는 것은 미래예측지표가 어떻게 자산이나 전략의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지 또 어떤 효과를 내는지 등이다.

 

자산별로 가장 흔히 쓰이는 미래예측지표는 크게 캐리(Carry), 가치(Value), 기술(Techincal) 지표로 나눌 수 있다.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배당수익률은 주가 대비 회사가 배당을 얼마나 하는지를 보여준다. 캐리 지표로 가장 대표적이다. 계산 방법은 

 

배당수익률 : 주당배당금 / 주가 x 100

 

1. 기업이 배당금을 지불할 만큼 충분한 현금을 가지고 있다. 여유자금이 없는 경우 배당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반도체 사이클로 영업이익이 늘자 배당을 대폭 늘렸다. 

 

2. 만약 주가가 떨어질 경우, 해당 손실분을 배당금이 채워준다. 

 

하지만, 일시적 배당은 중요하지 않다. 기업이 꾸준하게 배당을 줄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자사주매입(BuyBack)

회사가 배당 대신에 자사의 주식을 사는 것을 자사주매입이라고 한다. 1990년대 배당수익률이 감소하였지만, S&P500은 좋은 성과를 냈는데, 이는 기업이 배당 대신 자사주매입을 적극적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회사가 자사주를 매입하면, 유통되어있는 주식 수가 줄고, 주당순이익(EPS)이 증가한다. 따라서, 배당수익률과 함께 자사주매입 수익률(Buyback Yield)도 고려해야 한다. 

 

자사주매입 수익률 : 자사주매입 / 시가총액

 

자사주매입과 배당수익률은 대표적인 캐리지표로 주요 미래예측지표가 되었다. 그러나, 자사주매입은 일시적인 경향이 커서 주로 배당수익률에 더 높은 비중을 둔다. 

 

 

댓글